안녕하세요. 용테크의 용사장 입니다. 저번에 포스팅했던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조선의 왕 이야기 - 상" (이하 "조선왕 이야기") > [역사]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상 / 조선의 왕 이야기 에 이어 "조선왕 이야기 - 하"를 읽었습니다. 그에 대한 후기를 작성하오니 살까말까 고민하시는 분들은 이 후기를 읽어보시고 결정하세요! 자, 시작합니다! ● 이런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조선 전기의 왕들, 태조, 정종, 태종, 세종부터 시작하는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 까지는 다들 익숙하실 것입니다. 하지만 그 뒤인 "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에는 다들 익숙하지 않으실거에요. 학교에서 한국사 또는 국사 수업을 듣던 공무원 준비를 하던 앞에는 열심히 하다가 뒤에가서는 점차 지치고, 힘들고.....
안녕하세요, 용테크의 용사장 입니다. 책에 대해, 글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느끼는 느낌 그대로! 책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용테크의 북앤북스!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지식, 조선의 왕 이야기, 상편! 시작합니다! ● 어떤 분들에게 추천하나요? "조선왕조에 대해 알고는 싶은데 두껍고 딱딱한 책은 싫고 너무 가벼운 책도 싫다." 이러면 분들이 보면 좋을 책입니다. 특히 태정태세문단세, 딱 여기까지 아시는분들이 흥미롭게 보시기에 좋은 책이지요! (물론, 배경지식이 있으신 분들이 보셔도 재밋게 보실 수 있을거라고 판단됩니다!) ● 왜 이 책을 보게 되었나요? 솔직히 표지는 이쁘지 않았어요. 사실 표지만 보았을 때 더 사고싶던 책(설민석의 ...)이 있긴 했는데 내용을 살펴보니 마음이 바뀌더군요. "태정태세문단..
안녕하세요, 용테크의 용사장 입니다. 저는 요즘 역사덕후로 전향을 해서 한국사, 특히 조선역사를 알아가는데 푹 빠져있습니다! 아무래도 직접 겪은 시대가 아니다보니 문헌에 의존해서 알수 밖에 없는데요. 그러다보니 해석하기에 따라서 역사적 왜곡이 발생할 수도 있고 정 반대의 해석이 나오기도 합니다. 재가 이번에 본 책은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라는 책으로 사도세자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책입니다. 간단한 후기를 말하자면 충격과 공포입니다. 제가 알던 사도세자와 이 책에서 말하는 사도세자는 같은점도 분명 있지만 꽤나 많은 부분에서 상반된 모습을 보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으셔서 역사적 견문을 넓히시길 바래요. ※ 참고로 저는 역사적 지식이 깊지 않으므로 오해의 소지가 있을수 있는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안녕하세요. 용테크의 용사장 입니다. 예전에 만들어진 시스템들은 그때 그 당시의 IE버전의 호환성에 맞게 만들어진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요즘 IE버전에는 이상현상을 일으키기 마련인데요! 이에 따라 [호환성보기] 라는 기능이 있으나, HTML의 메타데이터 값을 통해서 강제 지정이 가능하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자 알아봅시다! 일단 현상은 이래요. IE 5를 사용하던 당시에 만들어진 시스템의 달력인데요 다 망가져있지요? 해당 페이지의 소스를 열어서 HTML HEAD에 아래와 같은 메타데이터를 넣어줍니다. IE의 버전을 5로 맞추라는 문구입니다. 그리고 달력 페이지를 열어보면?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F12]를 눌러 개발자도구에서 어찌되어있는지 볼까요? 위에 소스에서 지정해준대로 X-..
안녕하세요, 용테크의 용사장 입니다. 웹 페이지에 PDF를 보여 줄 경우가 가끔씩 있습니다! 예를들면 지침 같은거 보여줄 때 가끔 그러더라구요? 얼마 전에 이것과 관련되서 친구한테도 질문을 받았었는데요! iframe을 이용하면 엄청 쉽습니다! iframe의 src에 pdf파일을 넣어주면 되는 것입니다! 소스로 보면 이런거겟지요? 이렇게 넣고 파일을 열어보면? 쨘! PDF파일이 웹페이지에서 열리고 심지어 위에 표시된 저장/인쇄/크게/작게 버튼도 다 눌립니다! (물론 어도비리더에 기능이며 윈도우설정에 pdf는 어도비로 열리므로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어때요? 쉽지요?! 단, iframe을 사용하실 때는 아래 포스트 참고하셔서 사용하세요! > [JS] Frame, iFrame 브라우저별 호환성 엄청 간단하지..
안녕하세요, 용테크의 용사장 입니다. 페이지 안에 페이지를 넣을 일이 간혹 있는데요! 물론 요즘엔 제이쿼리와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나와서 비교적 쓸일이 적지만 프레임과 아이프레임을 통해 사용하게 됩니다! 요즘은 웹접근성이다 웹표준이다 뭐다 말이 하도 많아서 지킬 것도 많고 챙길 것도 많은데 그 중 하나가 크로스브라우징, 브라우저간 호환성 입니다! "아, 저희 홈페이지는 크롬에서는 안돌아갑니다. IE에서만 사용해주세요." 말하면서도 민망한 이런경우.. 하.. 이런 경우가 생기지 않기 위해서 적어도 프레임과 아이프레임을 쓸 때에는 아래 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변수 앞에는 #을 붙혀놓았습니다.)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볼까요? window.frames["#(아이)프레임이름"].location.href = "..
- Total
- Today
- Yesterday